> 아카이브 > 연도별 프로그램
주제 | 탄소중립과 한‧아세안 청소년 Carbon Neutrality and ASEAN-Korea Youth |
---|---|
슬로건 | ‘행동하는 탄소중립, 더 나은 미래로’'Act for Net-Zero, Move towards a Better Future' |
소주제 1 | 탄소중립 실천과 청소년의 역할Implementation of carbon neutrality and the role of youth |
소주제 2 | 환경정의 실현과 평등한 환경권Understanding Environmental Justice and Equal Environmental Rights |
소주제 3 | 친환경과 녹색기술의 미래The Future of Eco-Friendly and Green Technology |
소주제 4 | 환경변화와 인류의 건강Environmental Changes and Human Health |
소주제 5 | SDGs의 성취와 청소년의 정의 Achievement of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Youth Participation |
구 분 | 일 자 | 시 간 | 주요 내용 |
---|---|---|---|
사전활동 | 7.11. / 7.18. / 7.25. / 8.1. |
- | 사전토론 및 자료조사, 사전 과제 |
개회식ㆍ강연 | 8. 9. (화) | 14:00 – 15:00 | 개회식 |
15:00 – 15:30 | 기조강연 | ||
16:00 – 18:00 | 국가별 회의Ⅰ | ||
토론 | 8. 10. (수) | 11:00-13:00 | 분과토론 |
14:00-16:00 | 소주제별 권고사항 작성 | ||
16:00-18:00 | 국가별 회의Ⅱ | ||
토론 및 문화교류활동 | 8. 11. (목) | 11:00-13:00 | 서밋Ⅰ(국가별 발표) |
15:00-16:00 | 서밋Ⅱ(권고문 채택) | ||
16:00-18:00 | 문화교류활동 | ||
랜선올림픽ㆍ폐회식 | 8. 12. (금) | 11:00-13:00 | 랜선올림픽(참가자 교류) |
14:30-15:10 | 폐회식 |
프로그램 일자
총 2회 진행(5회 - 2022. 6. 28.(화), 6회 - 10. 24.(금))
참여 인원
총 80명 (각 회당 40명)
주요 내용
행사 참가자 및 일반 청소년을 대상으로 전문가 강연을 듣고 토론 기회를 제공하는 장 마련
회차 | 연사 | 주제 |
---|---|---|
5회 | 장다울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정책전문위원 | 탄소중립의 개념과 현실 |
6회 | 멜린다 마티너스 유소프이샥 연구소 수석연구원 | 한-아세안 기후 변화에 대한 인식 |
프로그램 일자
2022. 9. 20.(화)
참여 인원
`22년도 서밋 참가 청소년 87명 전원
주요 내용
2022 한‧아세안 서밋 결과물인 권고문을 바탕으로 한 실천 캠페인 기획 및 실행 후 온라인 성과공유회 실시
상훈 | 챌린지명 | 국가 |
---|---|---|
대상 | The Aftertaste of Food Waste | 필리핀 |
최우수상 | 5Rs for Green Planet | 캄보디아 |
우수상 | Climate Change and CO2 hidden in out daily lives | 대한민국 |
Field environmental action, Youth Dialogue, Social Media Campaign | 인도네시아 | |
장려상 | 2nd chance for 2nd hand | 베트남 |
Road to Net-Zeroth | 태국 |
프로그램 기간
2022. 10. 8.(토) ~ 11. 12.(토)
참여 인원
한국 및 아세안 회원국 청소년 51명
주요 내용
한·아세안 지역에 대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강의 수강 및 의견 교류
일자 | 진행자 및 테마 | 주요 내용 |
---|---|---|
10. 8.(토) (개강식) |
- | - 오리엔테이션 및 기조강연 |
10. 12.(수) (1주차) |
서강대 김종호 교수 / 역사 | - 화교 공동체 역사로 보는 다문화 사회로 가는 길 - 한-아세안 지역의 화교 공동체 비교를 통한 다문화 공동체 논의 |
10. 19.(수) (2주차) |
서강대 김소연 교수 / 환경 | - 기후위기와 아세안 국가들의 지속가능한 발전 - 개발전문가의 눈을 통해 바라보는 지속가능‧친환경 개발 |
10. 26.(수) (3주차) |
서강대 배기현 교수 / 외교 | - 비강대국 외교의 힘: 아세안과 한국의 다자외교를 중심으로 - 한-아세안 지역외교와 다자외교 양상 |
11. 2.(수) (4주차) |
성신여대 심두보 교수 / 문화 | - 한류를 통해 바라본 한-아세안 문화교류 - 한류와 K-Pop의 확장에 따른 문화외교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 |
11. 9.(수) (5주차) |
명지대 조수미 교수 / 사회 | - 21세기 한-아세안 사회의 인권과 포용주의 - 변화하는 아시아 사회 내에서의 다양성과 포용성 문제에 대한 사례연구 및 개념 정리 |
11. 12.(토) (수료식) |
- | - 우수참가자 선정‧발표 및 수료증 수여 |
프로그램 일자
2022. 11. 18.(금)
참여 인원
한·아세안 청소년 54명
주요 내용
‘한·아세안 청소년 서밋’ 3개년도 참가자들을 위한 온라인 이야기 및 토론의 장 마련 이외에도 영상 공모전(한‧아세안 댄스 콘테스트, 서밋 리뷰 콘테스트)을 통한 재능 공유 실시 관련 영상 및 사진은 갤러리에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