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밋소개 > 아세안 소개
1989. 11
부분 대화관계(Sectoral Dialogue Partnership) 수립1991. 7
완전대화상대국 관계(Full Dialogue Partnership)로 격상1997.12
제1차 ASEAN+3 정상회의 및 제1차 한-ASEAN 정상회의 개최2004.11
「한-ASEAN 포괄적 협력 동반자 관계에 관한 공동선언」 채택 및 동남아 우호협력조약(Treaty of Amity and Cooperation) 가입2005.12
한-ASEAN FTA 기본협정체결, 「한-ASEAN 포괄적협력 동반자 관계에 관한 공동선언」 이행을 위한 행동계획 채택2006.8
한-ASEAN FTA 상품협정 체결2007.11
한-ASEAN FTA 서비스협정 체결2009.3
한-ASEAN 센터 출범2009.6
대화관계수립 20주년 기념 한-ASEAN 특별정상회의 개최 (제주도), 한-ASEAN FTA 투자 협정 체결2010.10
「한-ASEAN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공동선언」 채택2012. 9
주ASEAN대표부 설립2014.12
대화관계수립 25주년 기념 한-ASEAN 특별정상회의 개최 (부산)2017.5
ASEAN 특사, 인도네시아·필리핀·베트남 파견2017.9
아세안 문화원 개원 (부산)2017.11
신남방정책 천명 및 「한·ASEAN 미래공동체 비전」 발표2019.11
대화관계수립 30주년 기념 제3차 한-ASEAN 특별정상회의 및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 개최(부산)ASEAN 10개국과 모두 외교관계 수립
※ 북한도 10개국과 수교양자 방문 및 다자회의 계기 정상·각료급회의의 활발한 개최
우리나라와 ASEAN은 1989년 대화관계 수립부터 긴밀하고 포괄적인 관계를 맺어오고 있으며, 오늘날 다방면에서 주요 핵심 파트너로 발전
ASEAN은 우리 외교의 외연 확대, 중견국 외교 지평 확대를 위한 전략적 요충지
우리나라는 2014년 대화관계 수립 25년을 기념하여 12월 부산에서 개최한 ‘한-ASEAN 특별정상회의’를 계기로 ASEAN과 ‘신뢰와 행복의 동반자관계’ 지향
우리나라는 2017년 5월 최초로 ASEAN 특사를 파견하였으며, 필리핀 (2017년 의장국) 대통령, 인도네시아(ASEAN 사무국 소재) 대통령, 베트남(핵심협력국, 대아세안교역의 50%차지) 국가주석 예방
우리나라는 ASEAN 10개 대화상대국 최초로 우리나라 국민을 대상으로 ASEAN 문화와 예술을 홍보하는 ‘아세안문화원’을 개원(2017년 9월 1일)
2017년 11월 신남방정책을 천명, 아세안에 대한 전례없는 외교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한·ASEAN 미래공동체 비전」 발표
한-ASEAN 대화관계수립 30주년을 기념하여 2019년 11월 부산에서 ‘한- ASEAN 특별정상회의’를 개최하고 신남방정책의 비전인 ‘사람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공동체’ 구현 가속
교역
1,533.6억불(흑자 374억불/ 수출 953.8억불, 수입 579.8억불)투자
95.5억불(제 2의 해외투자 대상지역)건설
80억불(제1의 건설수주 시장)방문객
양측간 교류인원은 연간 약 1,274만명